재계
16개 업종서 생활가전만 글로벌 매출 '톱'…철강·반도체는 2위
기사입력| 2016-06-29 11:03:12
16개 주요 업종 가운데 국내 기업이 매출 규모로 글로벌 1위에 오른 업종은 생활가전 하나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 글로벌 1위였던 휴대폰이 애플에 밀려 2위로 처지면서 글로벌 1위 업종이 한 개로 줄어든 것이다.
철강과 반도체는 2위였으며, '톱 10'에는 7개 업종이 포함됐다.
반면 유통과 제약, 인터넷 등 생활산업 부문의 국내 1위 기업들은 매출 규모가 글로벌 톱 기업의 2~5%수준에 불과했다.
29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지난해 국내외 대기업들의 글로벌 매출 순위를 조사한 결과, 주요 16개 업종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7개 업종(43.8%)에서 10위권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순위는 지난해 매출액을 기준으로 했으며 삼성전자와 같이 반도체, 가전, 정보기술(IT) 등 여러 업종에 걸쳐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는 부문별 실적을 추출해 사용했다고 CEO스코어측은 설명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의 지난해 매출은 398억달러(약 46조5000억원)로 2위 소니(299억달러)보다 30% 가량 높았다. 3위는 LG전자(288억달러)였고, 4위는 필립스(265억달러)였다.
반도체와 휴대폰, 철강 업종에서는 국내 기업이 2위에 올랐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매출은 404억달러로 인텔(554억)의 73% 수준이다. 국내 2위 SK하이닉스(160억달러)는 글로벌 순위에서 퀄컴(253억달러), 마이크론(162억달러)에 이어 5위였다.
휴대폰 부문에서는 삼성전자 IM사업부의 매출이 애플(1550억달러)의 56.7% 규모로 2위였다. 2013년, 2014년에는 1위였으나 지난해에는 애플에 밀려 2위로 처졌다. 3~4위는 중국 화웨이(196억달러)와 ZTE(152억달러)였고, LG전자(122억달러)는 애플 매출의 7.9% 규모로 5위에 그쳤다.
포스코(494억달러)는 철강 업종에서 1위 인도의 아셀로미탈 매출의 77.7% 규모로 2위에 올랐으며, 국내 2위 현대제철(137억달러)은 21.5% 규모로 글로벌 순위 7위였다.
완성차를 비롯해 자동차부품, 담배 등 3개 업종에서도 국내 대표기업들이 '톱 10'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매출 규모는 글로벌 톱 기업과 큰 격차를 보였다.
현대·기아차(655억달러)는 벤츠, BMW 등 글로벌 대기업들과의 경쟁 속에서 10위를 기록했지만, 글로벌 톱 토요타에 비해 매출 규모는 27.8%에 머물렀다.
현대모비스 역시 자동차부품 업종에서 306억달러로 8위에 올랐지만, 1위인 독일 로버트보쉬와 비교하면 매출 수준이 39.7%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담배 업종에서 9위로 '톱 10'에 든 KT&G(35억 달러)도 1위인 필립모리스 매출의 13.2%로 10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반면 석유화학을 비롯해 유통, 통신, 식음료, 화장품, 제약, 인터넷, 금융 등은 국내 1위 기업이 글로벌 '톱 10' 순위권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석유화학 업종에서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 빅4는 대부분 글로벌 20위권에 머물렀다. 식음료와 화장품, 통신 업종은 국내 1위 기업의 매출 규모가 글로벌 톱 기업의 10%대에 불과, 모두 순위권 밖으로 벗어났다.
식음료에서 국내 1위 CJ제일제당의 매출은 네슬레의 12.3%였고, 화장품에서 아모레퍼시픽은 로레알의 14.7% 수준이었다. 통신 업종에서도 국내 1위 KT의 매출 규모는 AT&T의 12.9% 수준이다.
롯데쇼핑은 국내에서 '유통 공룡'이라 불리지만 글로벌 톱 월마트와 비교하면 매출 규모가 5.1%에 불과했다.
지난해 다국적 제약사에 대규모 기술수출에 성공하며 제약 업종 국내 1위로 도약한 한미약품은 스위스의 노바티스와 비교하면 매출 규모가 2.3%로 비교가 되지 않았다.
국내 인터넷 시장을 장악한 네이버도 매출이 아마존의 2.6% 수준으로 순위권에 없다.
은행과 보험 업종 국내 1위인 산업은행과 삼성생명의 매출 규모도 글로벌 톱 기업의 21.6%와 14.4%에 머물렀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