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창조경제'의 훌륭한 예로 꼽았던 골프존이 프랜차이즈 전환 움직임과 관련해 사업주(점주)들과 대립하면서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스크린골프 시장 점유율에서 내리막을 걷고 있는 골프존이 가맹사업 가능성을 타진하면서 이를 반대하는 사업주들이 지난 23일 시위를 벌이는가 하면, 일간지 광고를 통해 성명서 공방을 벌이고 있는 것. 특히 사업주들은 골프존이 강압적 기계 업그레이드, 무분별한 신제품 출시로 인한 기계값 착취 등의 '갑(甲)질'을 했다고 주장하면서 도마에 오르고 있다.
더욱이 최근 골프존이 국회에서 '대표적 관피아'로 지적됐던 김범조 전 공정거래위원회 서울사무소장을 1년 만에 사외이사로 재영입해 비난을 받고 있다. 공정위는 가맹점사업 등을 관리·감독하는 기관이라 이를 이용하려는 '꼼수' 아니냐는 것이다.
▶골프존 vs 점주들 갈등 왜?
지난 23일 전국골프존사업자협동조합(전골협)은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골프존이 추진하는 가맹사업 전환 반대를 비롯해, 골프시뮬레이터 유상 업그레이드 중지 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날 집회에는 서울·경기를 비롯한 전골협 전국 지회에서 약 400여명(골프존 추산 200명)의 골프존 사업주들이 참가해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전말은 이렇다. 골프존은 지난 11일 점주들에게 GLM(골프존라이브매니저·매장관리프로그램)을 통해 '가맹사업에 대해 알려드립니다'라는 문서로 프랜차이즈 사업의 당위성과 추진 의지를 공표했다. 골프존은 "이는 지난해 말부터 5~7개 사업자조합과의 협의를 통해 타진한 사항으로, 현재의 코스사용료(R캐시) 외에 로얄티 5%를 추가 지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제안을 내놓은 상태다. 간담회 당시 전골협은 불참했다"며 "아직 시작 날짜가 확정되지도 않고, 현재 사업주 전수조사를 진행하는데 전골협 측에서 방해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골협 측은 "당시 간담회는 회원이 2000여명에 이르는 본 조합에 대해 골프존 측에서 단지 2명만 참석하라고 요구해 불참한 것이고, 설문은 질문 자체가 가맹사업화를 전제로 한 것이라 거부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본지에서 입수한 설문지<사진>에 따르면 업주들의 의견 개진보다 가맹점 사업으로의 유도성 질문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전골협 송경화 이사장은 "시장 과포화를 해결하지 않고 프랜차이즈화하는 것은 점주들의 부담만 늘어나기 때문에 반대하는 것" 이라며 "프랜차이즈 전환시 필요한 업그레이드 비용 대당 990만원은 타사의 새 기계값과 맞먹는 금액" 이라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골프존에서 프랜차이즈 전환의 명목상 이유로 내세운 '상권 보호' 및 '적정가격 유지' 이면에는 최근 극심한 스크린골프 시장 과포화로 이익이 줄어드는 데다 업주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타사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골프존은 현재 프랜차이즈가 아닌 스크린골프 기계 제조사다. 그러나 네트워크를 통해 기계 '시뮬레이터'를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골프존 측과 계속 관계를 이어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또한 초기 투자 비용이 최소 5억원 이상 되기 때문에 쉽게 폐업을 할 수도 없고, 새 기계가 출시되면 울며겨자먹기로 업그레이드를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전골협에 따르면 골프존은 점주들에게 시뮬레이터를 교체할 때마다 1대당 2000만원 이상의 비용을 받았다고 한다. 반면 골프존에 따르면 2008년 S플러스에서 골프존2로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할때 210만원, 2012년 리얼에서 비전으로 보상판매를 하며 1500만원의 비용을 청구한 이외에는 점주들에게 부담을 지우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골협에 따르면 골프존에서 2011년 리얼을 출시하고 2012년 비전으로 시뮬레이터가 교체되는 과정에서 신제품 출시를 점주들에게 알리지 않아 구형 제품을 사들인지 한 달 만에 또 거액의 업그레이드 비용이 드는 듯 피해를 본 사례가 속출했다. 또한 골프존서 주장하는 '2014년 비전플러스 무료 업그레이드'는 골프존 측에서 비전플러스 전용 이용료를 2000원 추가로 과금하려다 사업주들의 거센 반발로 철회한 배경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위기의 골프존…먹구름 걷힐까
최근 'S골프'에 따르면 국내시장 1위 골프존의 시장점유율이 지난 1월 70%대가 무너지며 60%대로 떨어진데 이어 2월에도 또다시 소폭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골프존 매장 수는 지난해 8월 5226개에서 올해 2월에는 4857개로 무려 369개가 줄어들었다. 골프존은 매장 수가 한때 5400여개에 달했다. 업계에서는 골프존 시뮬레이터가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고가인 데다가 업그레이드 비용 등이 만만치 않아 점주들의 타사 이탈이나 폐업이 속출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골프존은 지난 2014년 공정위로부터 과징금 처분 명령을 받고 검찰에 고발 조치돼 사회적 물의를 빚어 중소기업청이 진행하는 '월드클래스300 프로젝트'의 효력이 오는 7월까지 정지된 상태다. 공정위는 당시 스크린골프장 점주에게 특정 영상기기를 끼워 팔고 광고 수익료를 점주와 배분하지 않는 등 거래상 지위 남용 및 불이익 제공 행위를 한 골프존에 과징금 43억4000만원을 부과하고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월드클래스300 프로젝트'는 정부가 성장 의지와 잠재력을 갖춘 중소·중견기업을 선정, 지원해 2020년까지 세계적 기업 300곳을 키우겠다는 프로젝트다.
이런 가운데 골프존은 지난 18일 주주총회를 통해서 김범조 전 공정위 서울사무소장을 신규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지난해 골프존은 회사 분할에 따라 김범조 사외이사가 중도 퇴임했지만 1년 만에 다시 영입한 것. 김 전 소장은 옛 재정경제원을 거쳐 공정위에서 조사기획과장과 서울사무소장, 한국소비자원 부원장을 지낸 인물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기준 의원(더민주당)은 2015년 10월 공정위 퇴직 공무원들의 산하기관 낙하산 취업 실태를 꼬집으면서 '공피아(공정위+마피아) 지도'를 공개했는데 여기에 김 전 소장이 포함되기도 했다. 공정위가 가맹점사업 등을 관리·감독하는 당국이기에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골프존이 점주들과의 상생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때 스크린골프 시장 점유율이 90%가 넘었던 '공룡' 골프존이 무분별한 시뮬레이터 판매로 부메랑을 맞은 셈"이라면서 "위기의 골프존이 프랜차이즈 사업을 어떻게 진행할 지, 향후 위상이 어떻게 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밝혔다.
한편 골프존은 지난 2013년 '박근혜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인 창조경제의 대표적 사례로 카카오톡, 싸이 등과 함께 언급되기도 했다. 골프와 정보통신기술(ICT), 문화가 결합된 사업이 창조경제의 기본 개념을 성공적으로 실현한 것으로 평가받았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