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권오준·정준양 등 포스코 전·현직 회장들, 사업 악화에도 스톡옵션으로 수백억원 차익
기사입력| 2015-04-21 17:07:52
포스코 전·현직 회장이 스톡옵션을 통해 수백억대의 차익을 남긴 것으로 드러났다. 그것도 경영이 악화됐던 시기인 지난 2008년부터 2012년 사이 집중적으로 이뤄져 논란이 일 전망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따르면 권오준 포스코 회장,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 이구택 전 포스코 회장 등 포스코 고위관계자 33명은 2008부터 2012년 사이 스톡옵션을 행사해 829억원의 가욋돈을 챙겼다.
권오준 회장은 2003년 4월 26일 부여받은 스톡옵션 중 3000주와 1000주를 2008년 3월말, 2009년 6월말 행사해 14억3900만원을 챙겼다. 과거 받은 스톡옵션을 모두 합치면 30억원이 훌쩍 넘는 차익을 실현했다. 권오준 체제의 핵심인 김진일 포스코 사장도 2008년 이후 행사한 7500만원을 포함해 총 13억원을 챙겼다.
정준양 전 회장은 2004년 7월 23일 부여받은 스톡옵션 4900주를 2009년말 행사해 22억8400만원의 차익을 실현했다. 2008년 이전에 행사한 스톡옵션을 포함하면 정 전 회장은 총 50억여원의 차익을 챙겼다. 정 전 회장 직전 포스코 수장이었던 이구택 전 회장은 2008년 이후 186억여원의 스톡옵션 차익을 실현, 자신의 스톡옵션(279억여원) 중 67%를 2008년 이후 실현했다.
▶'돈' 앞에 무너진 주인의식
눈여겨봐야 할 점은 포스코 전·현직 회장들이 스톡옵션을 통해 차익을 거둔 시기다. 포스코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경영실적이 좋지 않았다. 2009년에는 신용등급 마저 떨어졌다. 예컨대 2008년 이후 포스코의 총부채는 꾸준히 증가했다. 2007년 11조1000억원이었던 총부채는 2014년 40조원으로 3.5배 이상 늘었다. 포스코가 2008년부터 몸집을 키우기 우해 인수·합병(M&A)에 나선 게 원인이다. 총부채 증가가 경영악화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나 커진 몸집만큼 영업이익이 증가하지 않으면 문제가 될 수 있다. 포스코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3조원대다. 몸집을 키우기 전인 2007년 5조원대보다 적다. 사실상 경영실패다. 그럼에도 포스코의 전·현직 회장들은 스톡옵션을 통해 수십억원을 챙겼다.
스톡옵션은 임직원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일하게 하는 일종의 인센티브다(용어 설명 참조). 일반적으로 스톡옵션을 받은 임직원은 실적을 낼수록 이익이 커지기 때문에 더 많은 성과를 내기 위해 애를 쓴다. 그러나 포스코 전 현직 회장들에게는 주인의식보다 '돈벌이' 창구로 활용됐다. 회사 실적이 나쁠 때 스톡옵션을 행사하면 특정 임직원을 향한 정서적 반감이 생길 수 있다. 포스코 최고위층이 2008년 이후 행사한 스톡옵션이 논란거리가 되는 이유다.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연합 경제정택팀장은 "포스코는 2007~2011년 무분별한 사업다각화와 M&A로 재무구조와 사업성이 크게 악화됐다"며 "이런 상황에서 회사 최고위층이 제 주머니 챙기기에 급급했다는 건 최고경영자(CEO)로서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스톡옵션으로 수십억원의 보너스를 챙긴 것은 전·현직 회장뿐만이 아니다. 계열사 대표 및 고위 임원들도 마찬가지다.
이동희 전 대우인터내셔널 부회장, 최종태 전 포스코 부회장은 각각 18억7700만원, 9억8300만원의 스톡옵션 차액을 챙겼다. 2009년 등기임원 허남석 전 포스코 부사장과 정길수 전 포스코 부사장은 각각 6억6600만원, 34억6700만원의 차익을 실현했다. 최근 검찰이 수사 중인 '포스코건설 베트남 비자금'의 종착역으로 지목된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도 2008년 이후 스톡옵션을 통해 18억원 가량을 챙겼다.
포스코 관계자는 고위 임직원의 스톡옵션 논란에 대해 "특별한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스톡옵션 폐지했지만 '돈잔치'는 여전히 진행형
포스코는 2006년 이후 스톡옵션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다. 스톡옵션이 윗선만 배불리는 제도라는 논란이 제기된데 따른 조치다. 그런데 포스코 고위층은 '스톡옵션 파티'를 멈추지 않았다. 자신들이 받은 스톡옵션을 제도 폐지 후에도 끝까지 행사했다.
특히 포스코는 스톡옵션을 폐지한지 딱 1년 만인 2007년 1월 또 다른 인센티브 제도를 만들었다. 기본연봉의 300% 한도 내에서 지급하는 '장기인센티브' 제도가 그것이다. 경영실적에 따라 연 2회 지급하는 성과연봉, 대내외 활동을 위해 역할별로 차등지급하는 활동수당과는 다른 인센티브 제도다.
장기인센티브 제도에 따라 정준양 전 회장은 2010~2012년 발생한 인센티브 5억6800만원을 2014년에 받았다. 올해와 내년엔 각각 4억5500만원, 1억1200만원이 더 지급된다. 경영실적이 신통치 않은 시기에도 장기인센티브가 지급, '돈잔치'가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기업이 어려울 때 스톡옵션과 장기인센티브 제도로 배를 불린 경영진보다 이런 보상이 가능하게 만든 보수체계가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