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이 16일 위치 측정 오차를 50센티미터(cm)까지 줄이는 초정밀 측위 기술을 개발해 양주 소재 ㈜필룩스(대표이사 회장 노시청) 조명박물관에 상용화했다.
필룩스 박물관에서 적용된 기술은 SK텔레콤이 새롭게 개발한 'UWB(Ultra Wide Band)*' 신호 활용 '실시간 위치인식 시스템(Real-Time Location Service)'인 'T스마트포지션(T Smart Position)'으로 방문 고객 대상 위치 확인 서비스에 활용된다.
'T 스마트포지션'은 필룩스 박물관 내·외부에 UWB 신호를 사용하는 장치 'AP(Access Point)'를 설치하고 방문객이 착용하는 '태그(Tag)'의 UWB신호를 받아 방문객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필룩스 조명박물관은 양주 필룩스 본사에 2천500평 규모로 설립된 세계 최초, 국내 유일의 조명전문 박물관이다. 박물관은 연간 약 10만 명의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방문할 정도로 유아 및 어린이 방문객으로부터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SK텔레콤과 필룩스 조명박물관은 'T 스마트포지션'의 적용을 통해 유소년 방문객의 부모가 아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아이가 어느 부스에 많이 머물렀는지 통계정보도 확인할 수 있어 미아 방지는 물론 아이의 관심사를 부모가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 스마트포지션'에 활용되는 기술은 UWB 국제 표준 기술(802.15.4a 규격)을 활용하여 110kbps~6.8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면서 수십cm이내의 정밀 위치인식이 가능한 획기적인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가 수신되지 못하는 실내에서는 기지국을 활용하는 위치 확인 방식을 사용하는데, 기지국 커버리지의 영향을 받아 수백 미터 수준으로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 GPS 대안으로 활용되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 기술은 정확도가 기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만, 2~10미터 정도로 공장 내 자산관리 등 정밀한 위치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적용하기 힘들었다.
이밖에 'T 스마트포지션' 시스템은 AP간 데이터 전송을 무선으로 처리, 유선망을 설치해야 하는 기존 시스템에 비해 비용을 줄이는 강점을 갖췄다.
'T 스마트포지션'은 향후 박물관 이외에도 자산관리, 물류분야, 중공업, 조선분야, 테마파크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24일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에서도 UWB 측위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기반) 플랫폼을 소개할 예정이다.
김세형기자 fax123@sportschosun.com